새벽기도회
날짜 | 2021-07-12 |
---|---|
성경말씀 | 출애굽기 38:1-20 |
설교자명 | 김광호 |
오늘의 말씀묵상 7월12일(월)
* 찬송 420장(너 성결키 위해)
* 말씀 출애굽기 38:1-20
1 그가 또 조각목으로 번제단을 만들었으니 길이는 다섯 규빗이요 너비도 다섯 규빗이라 네모가 반듯하고 높이는 세 규빗이며
2 그 네 모퉁이 위에 그 뿔을 만들되 그 뿔을 제단과 연결하게 하고 제단을 놋으로 쌌으며
3 제단의 모든 기구 곧 통과 부삽과 대야와 고기 갈고리와 불 옮기는 그릇을 다 놋으로 만들고
4 제단을 위하여 놋 그물을 만들어 제단 주위 가장자리 아래에 두되 제단 절반에 오르게 하고
5 그 놋 그물 네 모퉁이에 채를 꿸 고리 넷을 부어 만들었으며
6 채를 조각목으로 만들어 놋으로 싸고
7 제단 양쪽 고리에 그 채를 꿰어 메게 하였으며 제단은 널판으로 속이 비게 만들었더라
8 그가 놋으로 물두멍을 만들고 그 받침도 놋으로 하였으니 곧 회막 문에서 수종드는 여인들의 거울로 만들었더라
9 그가 또 뜰을 만들었으니 남으로 뜰의 남쪽에는 세마포 포장이 백 규빗이라
10 그 기둥이 스물이며 그 받침이 스물이니 놋이요 기둥의 갈고리와 가름대는 은이며
11 그 북쪽에도 백 규빗이라 그 기둥이 스물이며 그 받침이 스물이니 놋이요 기둥의 갈고리와 가름대는 은이며
12 서쪽에 포장은 쉰 규빗이라 그 기둥이 열이요 받침이 열이며 기둥의 갈고리와 가름대는 은이며
13 동으로 동쪽에도 쉰 규빗이라
14 문 이쪽의 포장이 열다섯 규빗이요 그 기둥이 셋이요 받침이 셋이며
15 문 저쪽도 그와 같으니 뜰 문 이쪽, 저쪽의 포장이 열다섯 규빗씩이요 그 기둥이 셋씩, 받침이 셋씩이라
16 뜰 주위의 포장은 세마포요
17 기둥 받침은 놋이요 기둥의 갈고리와 가름대는 은이요 기둥 머리 싸개는 은이며 뜰의 모든 기둥에 은 가름대를 꿰었으며
18 뜰의 휘장 문을 청색 자색 홍색 실과 가늘게 꼰 베 실로 수 놓아 짰으니 길이는 스무 규빗이요 너비와 높이는 뜰의 포장과 같이 다섯 규빗이며
19 그 기둥은 넷인데 그 받침 넷은 놋이요 그 갈고리는 은이요 그 머리 싸개와 가름대도 은이며
20 성막 말뚝과 뜰 주위의 말뚝은 모두 놋이더라
* 말씀묵상 – 번제단과 물두멍의 의미
장막문을 지나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번제단입니다. 그리고 번제단을 지나면 물두멍이 보입니다. 번제단에서 제사를 드린 제사장은 반드시 이 물두멍에서 손발을 깨끗하게 씻어야 했습니다. 만약 이를 어길 시에는 죽음을 면할 수 없었습니다. 장막 문을 들어가자마자 가장 먼저 번제단과 물두멍을 접하게 되는 영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번제단의 의미
하나님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장막문으로 들어온 제사장은 가장 먼저 번제단을 거쳐야 했습니다. 번제단의 중요한 특징은 피와 불과 뿔입니다. 번제단은 죄인들이 죄를 용서받고 하나님 앞에서 다시 의롭게 되는 과정을 잘 보여줍니다. 죄인들은 제물을 가지고 와서 그것을 번제단 옆에서 잡았습니다. 그리고 그 피를 번제단에 뿌려 죄 사함을 받았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친히 준비하신 제물이십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피가 우리에게 뿌려지면 하나님이 그 피를 보시고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해 주십니다. 제사장은 제물의 피를 번제단에 뿌린 후에 제물을 불로 태워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죄인들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이 거룩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번제단에서 바친 제물을 흠향하신 하나님은 죄인의 죄를 용서하시고 다시금 당신과의 교제를 허락하시고 의로운 자라 칭해주십니다. 번제단에서 피어오르는 연기와 같이 그 영혼이 하나님 앞으로 다시 나아갈 수 있게 하십니다. 그런데 이런 제사의 과정을 거칠 수 없는 급박한 상황에서 죽음을 피할 길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번제단 네 모퉁이에 뿔을 만들도록 하셨습니다. 어떤 죄인이라도 그 번제단의 뿔을 붙잡으면 죽음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이 뿔은 예수님을 상징합니다. 누구든지 예수님께 나아와 그분을 믿고 구주로 영접하는 순간 새 생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물두멍의 의미
물두멍은 제사장이 물로 손발을 씻는 곳이었습니다. 만약 물두멍에서 손발을 씻지 않고 성소로 들어가면 죽임을 당했습니다. 즉 제사장이라도 성결하지 않으면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없습니다. 대제사장은 1년에 한 번씩 대속죄일에는 전신을 씻고 지성소까지 들어갔습니다. 그 외에는 물두멍에서 수족을 씻었습니다. 죄인인 우리는 누구든지 죄 씻음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인생의 어느 순간에 구주이신 예수님을 만나 죄 씻음을 경험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한 번의 죄 씻음으로 온전해질 수 없는 연약한 자들입니다. 매일 일상에서 크고 작은 죄들을 지어 더럽혀지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죄를 자백하면 정결하게 해 주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우리가 예수님의 이름으로 우리 죄를 자백할 때 하나님은 그분의 의로우심으로 우리에게 죄 사함의 은혜를 주십니다(요일 1:9).그러므로 우리가 죄를 자백하고 회개할 때마다 물두멍의 씻음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성결하게 하심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스도인은 이러한 거룩함과 성결함 속에서만 성령의 능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거룩함을 잃지 않으려면 하나님의 말씀 속에서 죄에 대해 단호하고 분명한 영적 분별력을 가져야 합니다. 말씀은 절대적 진리로,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반영하고 우리의 타락한 자아를 비춰 줍니다. 우리 모두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어두운 세상을 밝히고 오염된 세상을 정화시키는 도구로 사용되길 기도합니다.
* 적용
하나님은 우리 죄를 해결하기 위해 당신의 아들을 제물로 삼으셨습니다. 그 피로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로 거듭났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죄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날마다 죄를 자백하고 회개함으로 죄 사함의 은혜를 경험하고,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으로 세워져야 합니다.
* 기도
우리 안에 거하시고 우리를 만나주시는 하나님! 하나님과 만나는 성막의 모든 곳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보여주심을 감사드립니다.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이스라엘 백성이 성막을 통해 은혜를 누릴 수 있던 것처럼,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은혜를 누리며 살아감을 고백합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부활로 안해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음을 온전히 고백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 삶의 중심에 두고 믿음으로만 살아가는 석남교회와 가족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번호 | 날짜 | 성경말씀 | 제목 | 작성자 |
---|---|---|---|---|
1712 | 2025-05-03 | 민수기 18:21-32 | 십일조의 원리 | 김한별 |
1711 | 2025-05-02 | 민수기 18:1-20 | 책임을 다하고 만족하라 | 김한별 |
1710 | 2025-05-01 | 민수기 17:1-13 | 질서를 경외에서 온다 | 김한별 |
1709 | 2025-04-30 | 민수기 16:36-50 | 구원의 길은 오직 하나 | 김한별 |
1708 | 2025-04-29 | 민수기 16:12-35 | 심판당해 마땅한 자들 | 김한별 |
1707 | 2025-04-28 | 민수기 16:1-11 | 네가 가진 것을 돌아보라 | 김한별 |
1706 | 2025-04-27 | 민수기 15:32-41 | 네 하나님을 기억하라 | 김한별 |
1705 | 2025-04-26 | 민수기 15:22-31 | 용서의 기준 | 김한별 |
1704 | 2025-04-25 | 민수기 15:1-21 | 약속의 땅을 바라며 살기 | 김한별 |
1703 | 2025-04-24 | 민수기 14:38-45 | 무엇이 중요한지 모르는 자들 | 김한별 |
1702 | 2025-04-23 | 민수기 14:26-38 | 너희가 한 말대로 행하리라 | 김한별 |
1701 | 2025-04-22 | 민수기 14:11-25 | 또 한 번의 중보와 용서 | 김한별 |
1700 | 2025-04-21 | 민수기14:1-10 | 신앙인과 불신자의 차이 | 김한별 |
1699 | 2025-04-20 | 마가복음 | 누가 부활의 증인이 되는가 | 김한별 |
1698 | 2025-04-19 | 마가복음 15:39-46 | 누가 그 영광을 알 것인가 | 김한별 |
댓글